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말랐다고 부러워했더니 아니다. 체지방율이 오히려 뚱뚱한 나보다 높다. ‘마른 비만’이다. 겉보기에는 말랐지만 체지방률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마른 비만은 외관상 살이 찌지 않아 보일 뿐, 비만 못지않게 위험하다. 마른 비만은 체질량지수가 정상이더라도 체지방률이 높고(남성은 체지방률 25% 이상, 여성은 30% 이상) 지방이 복부에 집중된 상태를 말한다. 마른 비만인 사람은 자신이 비만인 줄 모르는 경우가 많아서 건강 관리에 소홀한 경우가 많다. 마른 비만은 기초대사량이 낮아 하루에 소모하는 칼로리가 줄어들고, 같은 양을 먹어도 복부지방과 내장지방으로 저장되기 쉽다. 이로 인해 심혈관 질환, 고혈압, 당뇨병, 대사증후군과 같은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커진 지방세포는 내장을 둘러싼 채 몸에 이로운 활성물질 분비를 줄이고, 대사증후군을 일으키는 나쁜 물질을 분비한다. 내장 비만은 일반 비만처럼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 고혈압, 고지혈증 등과 같은 대사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으며, 내장지방이 많다 보니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서 당뇨병이 악화되기도 한다. 젊은 여성들의 경우 다이어트 시 운동을 하지 않고 식이조절만으로 체중을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비만은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이다. 그런데 체중은 정상 범위에 속하는데 건강검진을 받으면 체지방률만 높은 사람들이 있다. 흔히 ‘마른 비만’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몸무게만으로 비만을 구분했지만 최근 체성분 검사기가 널리 보급되고 체지방률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면서부터 ‘마른 비만’이란 말이 나왔다. 마른 비만은 과체중으로 인한 비만보다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 마른 비만인 사람의 지방은 내장에 축적된 내장 비만이다. 이는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 여러 대사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비만 진단은 주로 체질량지수(BMI)로 하지만, 마른 비만은 체지방률과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남성의 경우 25%, 여성의 경우 30% 이상일 때 마른 비만에 해당한다. 외형적으로는 뚱뚱해 보이지 않지만, 뱃살이 많아 배가 많이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다. 그런데 마른 비만 판정을 받은 사람들 체지방률을 낮추겠다며 다이어트부터 시작하는데, 매우 좋지 않은 방식이다. 체지방률(%)은 체지방량(㎏)을 체중(㎏)으로 나눈 수치다. 그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