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식 허와 실] <42>혀 부위 별로 느끼는 맛이 정말 다를까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과거 교과서에서 혀 부위별로 느끼는 맛이 다르다는 ‘혀맛 지도’를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다섯 가지 기본 맛인 단맛, 짠맛, 쓴맛, 신맛, 감칠맛을 혀의 특정 부분에서만 느낄 수 있다는 내용이다. 지금 교과서에서 혀맛 지도는 사라졌다.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특정 미각은 혀의 특정 부위에서만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혀 전체에서 느끼는 감각이다. 혀맛 지도는 1901년 독일 과학자 다비드 해니히가 혀의 각 부위 별로 상대적 미각 민감도를 연구한 것이 시작이었다. 혀의 부위마다 네 가지 맛(단맛, 짠맛, 신맛, 쓴맛, 신맛)을 느끼는 상대적 민감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내용이다. 그 뒤 1942년에 미국의 저명한 심리학자 에드윈 보링이 이를 그림(지도)으로 시각화해 널리 알리면서 교과서와 의학 저널에 혀맛 지도가 정설처럼 자리잡았다. 단맛은 혀끝, 신맛은 혀 양쪽, 쓴맛은 혀 뒤, 짠맛은 혀 가장자리라는 이 이론은 1970년대 이후 미각 수용체의 실제 분포와 기능이 밝혀지면서 근거 없는 것으로 판명났다. 실제 맛 수용체인 미각 세포(미뢰, Tongue Papillae 혹은 Taste Buds)는 혀 전체에 분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