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에어드레서·스타일러 같은 의류관리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세탁이 어려운 외투나 정장을 걸어두면 먼지를 털고, 고온의 스팀으로 살균까지 해준다. 고온 스팀(약 60~100도)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집먼지진드기 등 유해 미생물을 99.9% 이상 제거하는 것으로 과학적 연구와 국제 공인 시험기관에서 인증을 받았다. 하지만 의류관리기를 과신하면 안 된다. 문제는 이런 의류관리기가 자칫 세균 번식처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스타일러 내부에 물통이나 필터 관리가 소홀하면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할 수 있으므로 내부는 수시로 환기하고, 마른 헝겊으로 물기와 먼지를 닦아내야 한다. 냄새가 강한 옷이나 색 번짐 우려가 있는 옷은 반드시 단독 사용하고, 긴 옷은 내부 선반을 조정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옷에 이미 묻은 세균이 스팀으로 전부 제거되기 어려운 경우도 있어 세탁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 스타일러를 사용할 때 세균 증식을 방지하고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관리법을 알아본다. -급수통과 배수통 청소: 사용 후 급수통과 배수통에 남아있는 물을 비우고 깨끗이 씻어 세균 번식을 예방한다. 물은 반드시 깨끗한 정수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봄철에는 손을 씻거나 마스크를 착용하는 기본적 위생 관리는 철저히 하면서도 옷 속 오염물질은 간과하는 이들이 많다. 의류 섬유는 바이러스가 잘 생존하고 잘 전파하는 매개체다. 옷 섬유는 미세 구조가 거칠고 표면에 작은 구멍이 많아 미생물이나 세균 등이 쉽게 달라붙는다.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의류 표면에서 생존하는 시간은 미생물 종류, 환경, 온도, 습도, 섬유 재질 등에 달라진다. 며칠에서 길게는 몇 달간 생존할 수 있다. 독일 위생 및 환경의학 연구소에 따르면, 폴리에스터 섬유에서 세균이 최대 206일까지, 면이나 혼합 섬유에서는 최대 90일까지 생존했다. 식중독 증상을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는 약 한 달, 곰팡이는 약 90일간 살아남아 전염을 일으킬 수 있다. 섬유 속에 남아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일정 농도 이상이 되거나 땀, 습기 등에 노출되면 피부에 묻고 손이나 코, 입, 상처를 통해 체내에 유입돼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들은 감기 등 호흡기질환,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간균 등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병원체는 옷을 털 때도 확산된다. 외출복을 털어낼 때 병원체가 공기 중으로 퍼진다. 오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