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주의, 냉장‧냉동 케익 빵류... 스마트 헷썹, 지능형 온도스티커(TTI) 도입 서둘러야
한국헬스경제신문 이상혁 기자 | 급식에 납품된 냉동 케이크와 빵류로 인해 수백 명의 식중독 환자가 발생한 사건이 잇따르면서, 식품안전 관리체계에 대한 개선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사)한국식품안전연구원(원장 이광원)은 (사)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회장 오세욱), (사)한국식품안전협회(회장 오규섭)와 함께, 식중독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AI 기반 ‘스마트 헷썹(HACCP)’ 시스템과 ‘지능형 온도스티커(TTI)’의 도입을 촉구했다. 문제의 발단은 올해 5~6월 충북 청주와 진천의 집단급식소에서 벌어진 대규모 식중독 사고다. 해당 사고는 딸기크림 롤케이크와 초코바나나빵 등 냉장·냉동 제품을 섭취한 후 총 256명의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처는 즉시 해당 제품 판매를 중단하고 전량 회수 조치에 나섰다. 이는 지난 2018년 전국 55개 학교에서 초코케이크로 인해 2,207명의 살모넬라 감염자가 발생한 사태와도 흡사하다. 연이어 반복되는 사고에 소비자들은 크게 혼란을 겪고 있다. “살모넬라는 언제든 터질 수 있다”… 만성화된 식품안전 위기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약 300건의 식중독이 발생하며, 환자 수는 5-6천명의 환자가 발생한다. 미국도 예외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