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연말연시가 가까워지면서 송년회 회식이 잦아지고 있다. 평소보다 술을 마실 기회가 늘어나면서 과음으로 인한 건강도 적신호가 켜지는 때다.
질병관리청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중 술을 마시는 비율이 76.9%이며 해로운 수준으로 음주하는 비율이 35.6%에 달한다. 2019년 기준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총 15조 806억 원으로 비만, 흡연보다 크다.
전문가들은 과도한 음주를 하는 사람의 경우 뇌, 간, 위 등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과음의 대표적 문제는 위염, 알코올 지방간, 알코올 간염, 간경변증 등 각종 질환이다.
보건복지부 지정 알코올 전문병원 다사랑중앙병원 통계에 따르면 올해 입원한 770명 중 36%가 위염을 앓고 있었다. 50대가 72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65명), 30대(49명) 순이다.

과도한 음주는 알코올 지방간을 만들고 그 상태에서 음주를 계속하면 약 20~30%가 알코올 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알코올 간염 환자가 계속해서 술을 마시게 되면 38~56% 정도가 간경변증으로 이어지며, 간경변증 환자 중 7~16%가 간세포암으로 넘어간다고 알려져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빈속에 술이 들어가면 알코올이 위 점막을 바로 공격해 혈중 알코올 농도가 급격히 상승한다. 위 점막이 직접 자극받아 심하면 위궤양이나 출혈로 이어질 수 있다. 간에도 큰 부담을 준다.
술을 마신 다음 날 명치끝에서부터 목을 향해 치밀어 오르듯 가슴이 타는 것 같은 통증과 함께 신물이 올라온다고 느껴진다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
간질환은 대부분 초기 증상이 없고 건강검진에서 간수치 이상이 나타나거나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병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알코올성 간염은 무력감, 피로감, 발열, 오심과 구토, 식욕 부진,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완전히 금주하는 것이다. 초기 알코올 지방간 환자는 금주하면 4~6주 뒤 간 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된다. 중증 간염, 간경변증이더라도 금주하면 질병의 진행을 막고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회식에서 과음을 조심하지만 과식할 위험도 높다. 잠들기 전까지 소화가 잘 안 되면 역류성 식도염으로 이어지기 쉽고, 맥주에 어울리는 치킨 등 고지방·고단백 안주를 과하게 먹으면 통풍에 걸릴 위험이 크다. 갑작스러운 복통과 함께 급성 췌장염 진단을 받기도 한다.
술을 마신 후 통증이 계속되면 병원을 꼭 찾아가봐야 한다. 술자리 전에 죽 한 그릇이나 가벼운 요거트를 먹으면 위장을 보호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