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우리나라 국민 연간 커피 소비량은 1인당 405잔으로 전 세계 평균 152잔보다 두 배 이상 많다는 조사가 있었다.
커피가 주는 건강상 장단점은 여러 연구 결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건강에 좋다는 연구가 많다.
여러 연구에서 커피는 특히 심장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졌다. 유럽심장학회가 3만 명 이상의 참가자를 관찰해보니 하루 최대 3잔의 커피를 마시면 심장병에 걸릴 위험이 낮아졌다.
커피는 뇌 건강 증진에도 도움이 된다. ‘알츠하이머병 저널’에는 65~84세 노인을 대상으로 매일 커피를 한두 잔 마신 노인과 전혀 마시지 않는 노인을 비교했는데 매일 커피를 마신 노인에서 인지 장애 비율이 낮았다.
호주 빅토리아대 연구팀에 따르면 운동 전에 커피를 마시면 혈액 순환, 지구력, 근력이 좋아지고, 통증이 감소한다. 운동하기 30분 전에 커피를 마시면 지방 연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태국 마히돌대 연구팀이 대학생들에게 구두 발표 과제로 스트레스를 일으킨 뒤, 그룹을 나눠 발표 후 ▲커피 향 ▲커피식 아로마 향 ▲무향(대조군)을 맡게 했다. 그 결과, 커피 향을 맡은 그룹이 아무 향도 맡지 않은 그룹보다 타액 속 스트레스 수치 상승 폭이 유의하게 적었다. 맥박수도 커피 향을 맡았을 때 감소했다.
최근에는 장기간 앉아서 일하는 사람에게 커피가 사망률을 낮춘다는 연구가 보고됐다.
중국 쑤저우대 의대 공중보건대 빙얀 리 교수팀이 앉아있는 시간이 긴 사람에게 커피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연구팀은 미국 성인 1만 639명을 2007~2018년까지 조사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장시간 앉아 있을수록 사망 위험이 올라가는 경향은 커피를 마시지 않는 그룹에서만 확인됐다. 연구팀은 “오래 앉아 있더라도 커피 한 잔을 마시면 좌식으로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며 “명확한 커피의 기전은 확인되지 않았는데, 커피는 1000여 개 이상의 생리활성 물질이 있는 복잡한 화합물이라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만, 카페인에 민감하다면 하루에 커피 한 잔 마시는 것도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커피에 들어 있는 카페인은 몸의 교감신경을 항진시켜 여러 이상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대표적인 카페인 부작용으로는 ▲머리가 아프거나 ▲근육 떨림이 생기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배뇨가 잦아지는 증상 등이 있다.
평소 역류성 식도염을 앓고 있는 사람도 커피 섭취를 자제하는 게 좋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 음식물 역류로 인해 식도에 염증 또는 궤양이 발생한 것인데, 커피가 증상을 더 악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