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우리는 하루에 보통 4-6회 소변을 본다. 하지만 소변의 상태에 별 관심을 두지 않는다. 소변은 건강의 바로미터인데도 너무 무심한 것이다. 소변은 신장, 방광 같은 기관을 거쳐 요도를 통해 체외로 배출된다. 몸 안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 중 하나는 소변을 살펴보는 것이다. ◇붉은 색 소변은 혈뇨 의심해야 우선 소변의 색깔을 유심히 봐야 한다. 정상적 소변은 엷은 노란색이지만 섭취한 음식 종류나 물의 양, 몸 상태에 따라 색은 달라질 수 있다. 가장 유의해야 할 색깔은 붉은색이다. 소변에 혈액이 포함된 혈뇨 증상일 가능성이 크다. 혈뇨는 소변이 만들어지는 신장에 문제가 있거나 요도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한다. 전립선이나 방광에 문제가 있어도 혈뇨가 나타날 수 있다. 혈뇨를 봤다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다. 주황색 소변은 수분 섭취량이 적어 소변이 농축되거나 격렬한 운동 뒤에 근육이 손상되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간이나 담즙 이상의 신호일 수도 있다. 물을 많이 마시면 무색에 가까운 투명한 소변이 나온다. 반대로, 물을 적게 마시면 진한 노란색 소변이 나온다. 종합비타민을 먹은 후에도 비타민
한국헬스경제신문 | 김지홍 연세대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소아신장과 교수 야뇨증이란 5세(생후 60개월)가 넘었는데도 밤에 스스로 오줌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를 야뇨증이라고 한다. 대개 부모들은 “우리 아이가 유치원에 갈 나이가 되었는데 아직 밤에 소변을 못 가려요.” 하소연 을 하며 병원을 찾고, 아이에게 심한 기능적 장애 혹은 발달 장애가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을 하기도 한다. 대부분은 1차성(특발성) 야뇨증으로 신경계, 신장요로계, 내분비계 등의 기능적 장애 없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밤에 소변을 가리기 시작하여 6개월 이상 소변을 잘 가리던 아이가 갑자기 야뇨증을 보이는 2차성 야뇨증은, 선행되는 원인 질환이나 심리적 문제의 동반 가능성이 높아 좀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간혹 1차성 야뇨증에서도 선행 원인 질환이 발견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야뇨증이 나타나면 전문의 상담과 기본적인 소변 검사, 혈액 검사를 통해 신장 기능을 평가하고, 요로 기형 동반 여부를 확인하여 원인 질환을 찾아내 치료 여부와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야뇨증 원인 야뇨증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소인과 성숙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