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사과의 계절이다. 추석 연휴와 딱 맞아떨어져 사과가 많이 소비되고 있다. 냉장고 속에 사과가 쌓이면 상하기 전에 다 먹어야 한다. 그런데 밤에 먹는 사과는 ‘독사과’라는 말 때문에 저녁 이후 사과 먹기가 주저된다. 과연 그럴까. 정말 맞는 말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이는 사실이 아니다. 과학적으로 보면 밤에 사과를 먹는다고 독이 되거나 해로운 것은 전혀 없다. ‘독사과’라는 말이 나온 배경은 바로 소화 때문이다. 사과 껍질에는 식이섬유(펙틴)가 많다. 이것이 밤에 장운동을 촉진시켜 잠을 방해하거나 속이 쓰리고 더부룩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어서 이런 속설이 생겼다고 본다. 사과의 유기산이 위산을 자극해 자기 전에 먹으면 속쓰림을 유발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는 건강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다. 위장이나 소화기 질환이 없고 소화 기능이 정상인 사람이라면 사과는 언제 먹어도 건강에 해롭지 않다. ‘밤에 먹는 사과’가 독이라는 속설은 한 마디로 과장된 표현이다. 단, 늦은 밤에 무얼 먹는 것은 사과뿐 아니라 어떤 음식에도 바람직하지 않다. 저녁에 사과를 먹을 때는 한 번에 중간 크기 사과의 3분의 13개(약 100g) 정도가 적당하다. 과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사과 값이 떨어지지 않아 ‘금사과’로 불린 지 오래다. 그런데 금사과는 오래전부터 듣던 말이다. 아침 사과는 ‘금사과’, 저녁은 ‘독사과’라는 말은 마치 공식처럼 전해 내려왔다. 과연 맞는 말일까. 결론은 아침이든 저녁이든 둘 다 장단점이 있어서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사과를 언제 먹을지 결정하면 되는 것이지, 밤에 사과를 먹는다고 건강에 나쁘고 아침에 먹는다고 무조건 좋다는 건 아니라는 말이다. 사과의 영양소 중에는 구연산이라는 성분이 있다. 구연산은 사과를 비롯해 감귤류 등 과일과 채소에 함유된 약한 유기산이다. 주로 탄산음료나 가공식품의 신맛을 내기 위해 사용하며 살균 효과가 있다. 구연산은 피로 해소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구연산도 ‘산’이어서 평소 위가 약해 위염이나 위궤양 등이 자주 발생하는 사람은 아침 빈속에 먹으면 위 점막이 손상돼 속쓰림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런 사람은 양배추나 삶은 달걀을 먼저 섭취한 후 사과를 먹는 것이 좋다. 아침 사과가 좋다는 이야기는 배변과 관련이 있다. 사과 껍질에는 식이섬유인 펙틴이 가장 많은데, 아침 식후의 사과는 장 운동을 부드럽게 자극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