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선크림은 색소 침착이나 노화, 암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매일 바르는 사람도 있지만 여름철에만 바르는 사람이 대다수다. 작년 여름에 쓰고 남은 선크림, 유효기간도 남아있는데 막상 버리자니 아깝다. 그래도 정답은 ‘버려야 한다’는 쪽이다. 선크림의 유효기간은 일반적으로 개봉 전에는 2~3년, 개봉 후에는 6개월에서 늦어도 1년 이내다. 선크림은 개봉한 후에는 공기, 빛, 열, 습기 등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성분이 쉽게 변질될 수 있다. 유통기한이 남아 있더라도 색이 변하거나, 물처럼 묽어지거나, 층 분리 현상이 나타나거나, 이상한 냄새가 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말고 폐기해야 한다. 선크림 구매 날짜를 용기에 기입해 두면 유효기간을 관리하는 데 참고가 된다. 변질된 선크림은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유통기한이 지난 선크림은 생활 속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스티커 및 접착제 자국 제거, 가죽 제품 광택 복원, 금속 및 스테인리스 제품 광택, 유성펜 자국 제거, 유리 제품 청소 등에 쓰면 효과가 좋다.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지난해 여름에 구입해 사용한 선크림이 아직 반도 넘게 남아 있다. 버리자니 아깝고, 쓰자니 은근히 걱정이 앞선다. 선크림 유통기한은 얼마나 될까. 변질된 선크림을 써도 문제가 없을까. 정답은 유통기한이 설사 남았더라도 사용하지 않는 게 낫다. 대부분의 선크림은 제품 개봉 후 6개월에서 1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지난해에 개봉한 제품이라면 지금쯤 성분이 변질됐을 수 있다. 개봉하지 않은 선크림은 제조일로부터 2~3년 정도가 유통기한이다. 용기에 적힌 유통기한이 남아 있더라도 선크림의 색이 변했거나, 묽어졌거나, 오일과 수분이 분리되었거나, 이상한 냄새가 나면 바르지 말아야 한다.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떨어진다. 유통기한이 지난 선크림은 자외선 차단 기능이 약해져 햇볕에 의한 화상, 색소 침착, 주름, 심한 경우 피부암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변질된 성분이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알레르기 반응, 염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세균 번식의 위험도 있다. SPF 45 PA++++는 UVB 방사선(SPF) 및 UVA 방사선(PA)에 대한 선스크린의 보호 수준을 나타낸다. SPF 45는 UVB 방사선에 대해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햇볕에서 나오는 자외선은 체내 비타민D 합성 등 건강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피부에는 적이다. 자외선을 차단하는 유일한 방법은 선크림을 바르는 것뿐이다. 선크림의 계절이 돌아왔다.그런데 상점에서 망설이게 된다. 제품마다 UVA, UVB, PA, SPF, 유기 자차, 무기 자차 등 낯선 용어가 써 있다. 일일이 점원에게 물어보기도 뭐하고 대충 고르자니 잘 못 산 게 아닌가 찜찜하다. 피부 타입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똑똑하게 자외선 차단제를 고르는 방법을 알아본다. ◇UVA, UVB는 자외선 파장의 차이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와 UVB, UVC로 나뉜다. 이중 UVC는 파장이 짧아 오존층에서 대부분 흡수되므로 인체에 아무 영향이 없다. 인체에 영향을 가장 많이 끼치고, 피부 손상을 일으키는 주원인은 UVB다. 피부의 핵산, 단백질 등의 합성을 억제시키고 화상을 입히며 새로운 색소를 만들어 피부 침착을 유발한다. 면역 기능을 저하시켜 세균감염 및 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UVB는 다행히 유리창을 통과하지 못한다. 그래서 실내에서는 안전하다. 이에 비해 UVA는 에너지의 강도가 UVB의 1/1000밖에 안 된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