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영양

[건강상식 허와 실] <38>잡곡밥이 몸에 좋다지만...

잡곡의 비중이 너무 높으면 역효과
잡곡은 5종류가 적당
신장병, 암환자는 백미가 좋아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한국인은 밥심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밥은 한국인에게 중요하다.

 

밥을 지을 때 흰 쌀밥보다는 잡곡을 넣으면 건강에 좋다고 누구나 믿고 있다. 실제로 잡곡밥에는 흰밥보다 비타민과 무기질, 미네랄, 식이섬유소가 2~3배 이상 함유됐다.

 

잡곡 중에서도 정제된 곡물보다 거친 상태의 곡물 즉, 전곡을 섭취하면 건강에 훨씬 좋다. 잡곡의 영양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식이섬유소다. 장 운동을 활성화시키고 콜레스테롤 배출과 혈당 조절에 기여한다. 도정하지 않은 잡곡은 도정한 잡곡에 비해 곡물 섬유소가 풍부해 위장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잡곡밥은 암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서울대 의대 연구팀에 따르면 흰 쌀만 먹은 여성은 잡곡을 섞어 먹은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 위험이 35% 더 높았다 연구팀은 정제된 흰 쌀보다 통곡물에 식이섬유가 풍부하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잡곡밥은 흰쌀밥보다 당 지수가 낮아 혈당이 천천히 상승하도록 돕는다. 이는 인슐린 과다 분비를 막아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대사증후군 위험을 낮춘다.

 

 

그런데 잡곡밥을 주식처럼 먹는 것은 오히려 위험하다. 건강을 위해 잡곡밥을 먹으려면 알아야 할 것들이 있다. 잘못하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우선 잡곡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으면 식이섬유를 과도하게 먹게 된다. 식이섬유는 잡곡 100g당 평균 5~8g 들어있는데, 잡곡의 비중이 너무 높으면 한 끼(평균 300g)에 15~20g을 섭취하게 된다. 하루 권장량인 20~25g과 비슷한 수치다. 식이섬유를 과도하게 섭취하면 비타민과 무기질 같은 미량 영양소 흡수율이 떨어질 수 있다.

 

어린이나 위장관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잡곡밥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 잡곡밥을 먹으면 소화 속도가 더뎌지고, 소화 흡수율도 낮아져 위에 부담이 갈 수 있다. 특히 현미를 섞으면 쌀의 가장 겉면인 과피층이 남아 있어 소화하기 어렵다. 그리고 잡곡밥에 풍부한 식이섬유가 소화되는 과정에서 생긴 수소, 탄산가스가 장을 자극하기도 한다.

 

소화가 잘되고 영양소도 충분히 섭취하려면 잡곡과 백미의 비율을 3:7로 맞추는 게 좋다. 평소 소화가 잘 안되는 사람이나 65세 이상 장년층, 6세 미만 소아는 백미 비율을 좀 더 늘리면 된다. 보통 1:9 정도로 맞춰 먹는 게 소화나 영양소 섭취에 도움이 된다.

 

신장 기능이 약한 사람은 오히려 흰 쌀밥을 먹는 게 낫다. 이들은 보리 등 잡곡에 풍부한 인 성분이 잘 배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신장에서 인이 잘 배출되지 않는 경우, 가려움증이나 관절통이 생기며 뼈가 약해질 수 있어 흰 쌀밥을 먹되 섭취량을 줄이는 방식을 택하는 게 좋다.

 

암 전문 의사와 영양사들은 체력과 면역력이 약해진 암 환자에게는 쌀밥을 권유한다. 잡곡류는 암 환자의 경우 소화가 잘 안 될 수 있기 때문에 한동안 흰밥 위주로 섭취해야 한다. 특히 밥은 환자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므로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좋다.

 

탄수화물 섭취량과 사망의 상관성을 조사한 최근 연구 결과, 탄수화물의 하루 섭취량이 전체 칼로리의 50%~55%로 권장량을 섭취한 그룹은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량의 쌀밥을 먹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잡곡밥은 다섯 가지 곡물을 넣어 조리하는 게 가장 좋다. 너무 많은 종류의 잡곡을 넣어 밥을 하면 오히려 영양 효과가 떨어지고 소화가 잘 안될 수 있다. 한국우석대 연구팀이 5곡, 8곡, 16곡, 17곡, 20곡, 25곡의 혼합 잡곡 영양 성분을 분석한 결과, 5곡의 단백질, 무기질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효과가 가장 우수했다. 적절한 곡물 2~5개를 사용해 쌀과 잡곡을 4대1 비율로 섞어 먹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