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젠더

여가부서 ‘여성’ 빠진 ‘성평등가족부’ 드디어 출범

2001년 ‘여성부’ 출범 이후 24년 만에 확대개편
‘성형평성기획과’ 새로 설치...남성 차별 문제 다뤄
고용노동부로부터 여성고용 관련 업무 이관받아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국무회의가 30일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의결하면서 여성가족부가 2001년 여성부로 처음 출범한 뒤 24년 만에 ‘여성’이란 두 글자를 빼고 10월 1일부로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됐다.

 

남성 차별 문제를 다루는 ‘성형평성기획과’가 신설되고, 고용노동부로부터 여성고용 관련 일부 업무를 이관받았다.

 

약칭은 ‘성평등부’이며 영문 명칭은 기존과 같은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다.

 

여가부는 부처명에서 ‘여성’이 빠진 것과 관련해 “성별의 차별을 완화하고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선 기존의 여성가족부 명칭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고 주장했던 윤석열 전 정부에서는 ‘성평등’이란 단어를 남성을 의식해 ‘양성평등’으로 바꾸어 놓았었다.

 

부처 확대개편의 핵심은 ‘성평등정책실’ 신설이다. 성평등 정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는 조직으로 국장급인 성평등정책관, 고용평등정책관, 안전인권정책관을 산하에 둔다.

 

성평등정책관 산하에는 ‘성평등기획과’를 신설, 남성이 느끼는 역차별 문제를 다룬다.

 

지난 6월 10일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당시 신영숙 여가부 차관에게 “남성들이 차별받는다고 느끼는 영역이 있는데 공식적인 논의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남성 차별 문제도 다룰 것을 지시한 바 있다.

 

 

조직 개편에 따라 여가부는 2실 2국 3관 1대변인 27과 체제에서 3실 6관 1대변인 30과 체제로 확대되며 총 17명이 증원된다.

 

원 장관은 “우리 사회의 성평등 수준이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성별 임금 격차와 성폭력에서 느끼는 안전 격차, 성평등에 대한 청년 세대의 인식 격차 등이 크다”며 “국민 모두의 삶에 기여하는 실질적인 성평등 실현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