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기자 |
질병청의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60대의 당뇨 유병률은 28.3%, 70대 이상은 31.2%나 된다. 노인 세 명 중 거의 한 명이 당뇨 환자인 것이다.
10년 전과 비교해 60대는 6.8%포인트, 70대 이상은 4.1% 포인트 올랐다.
고령화 속에서 노인 당뇨병 환자는 빠르게 늘고 있는데, 노인 당뇨병은 복합적인 만성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여러 약물을 함께 복용하는 데다 저혈당·낙상 위험도 커서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대한당뇨병학회와 협력해 노인 당뇨병 관리를 위한 교육자료를 제작해 2일 배포했다.
‘노인의 날’을 맞아 제작된 자료엔 일반인은 물론 혼자 생활하는 노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올바른 혈당 측정법과 저혈당 대처법, 간편한 건강 밥상, 맞춤형 운동법 등의 정보가 담겼다.

혈당 측정 과정에서 실수를 줄이려면 채혈하는 손가락을 쥐어짜면 안 되고 손을 아래로 늘어뜨리거나 가볍게 손끝을 향해 마사지해야 한다. 채혈침과 검사지는 한 번만 사용하고, 검사지 통은 빛과 습기를 피해 뚜껑을 꼭 닫아 보관해야 한다.
저혈당을 예방하기 위해선 식사는 규칙적으로 하고, 운동은 식후 30분 이후에 시작하며, 운동 전이나 취침 전 혈당이 100㎎/dL 미만이면 간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취침 전 간식은 우유 1컵에 크래커 2∼3개 정도면 적당하다.
건강한 노년을 위해선 3가지 종목(유산소·근력·유연성)을, 3동작 이상, 주 7일 매일 하는 '3X3X7 운동'을 실천하면 좋다. 무릎이나 관절, 어깨, 다리에 통증이 있을 때 할 수 있는 맞춤형 운동법도 소개됐다.
이 교육자료는 당뇨병학회(www.diabetes.or.kr)와 보건연구원(www.nih.go.kr·복구 작업 중) 홈페이지에 게시되며, 전국 보건소에서 받아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