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높은 완화의료 암 환자 생존율 2배↑·우울↓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질 높은 조기 완화의료가 진행성 암 환자의 2년 생존율을 2배 이상 높이고 우울을 절반 이하로 줄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완화의료를 받았는지 여부가 아니라 ‘질적 수준’이 환자의 생존과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의료진은 설명했다. 완화의료는 임종이 가까운 환자에게 적용되는 호스피스와 달리 질병 진행 단계와 관계없이 환자에게 증상 조절과 돌봄 등을 지원하는 개념이다. 말기 이전의 환자도 이용할 수 있다는 게 호스피스와의 가장 큰 차이다. 윤영호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국립암센터 강은교 교수, 울산대병원 고수진 교수)은 국내 12개 병원에서 진행성 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조기 완화의료의 질이 환자의 정신건강, 삶의 질, 자기관리 능력,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환자가 체감한 완화의료의 질을 ‘완화의료 질 평가 설문’(QCQ-PC)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기준으로 질 높은 완화의료군(76명)과 질 낮은 완화의료군(68명)으로 나눈 뒤, 정신건강, 삶의 질, 자기관리 전략, 생존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