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박건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1일 “자살은 사회적 재난이라는 관점에서 정책 패러다임을 전면 전환해야 한다”며 범정부 자살대책 추진기구 설치를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 모두발언에서 “몇 차례 산업재해 사망 얘기를 했는데, 그 외에도 자살 문제가 더는 방치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2배를 훨씬 상회한다”며 “2023년에는 1만 4천명에 가까운 국민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 지난해와 올해는 더 많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주요 국가들의 자살률은 감소 추세인데 우리는 20년 넘게 OECD 1위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고 언급했다. 우리나라 자살률은 2024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28.3명이다. 이 대통령은 “자살로 내몰린 국민을 방치하면서 저출생 대책을 논하는 것은 명백한 모순”이라며 “이건 국가의 책임을 방기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예산과 인력 확충은 물론이고, 책임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한 범부처 전담 총괄 기구 구성을 포함한 자살 예방·정신건강 지원 정책을 정교하게 만들어 추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고령층 자살률은 대부분 나라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나지만 우리나라 고령 남성의 자살률은 세계에서도 유독 높다. 전 연령층을 합하면 남성이 여성보다 2.1배 많은데, 80세 이상 남자 자살률은 여자보다 무려 3.9배나 높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자살률이 27.3명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38.3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것이다. 전체 자살 사망자 수는 1만 3978명으로 전년 대비 1072명(8.3%) 증가했고 10년 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그런데 남성와 여성의 차이가 컸다. 지난해 남성 자살 사망자는 9747명, 자살률은 38.3명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여성 자살 사망자는 4231명, 자살률은 16.5명이었다. 연령대별로는 80세 이상 자살률이 59.4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70대 39명, 50대 32.5명, 40대 31.6명, 60대 30.7명 순이다. 자살 증가폭은 60대가 13.6%로 가장 높았다. 이어 50대 12.1%, 10대 10.4% 순이다. 남성 고령자가 극단 선택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에 따르면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희망철도재단이 마음치유 단체들과 함께 지난 7일 서울역 대합실 3층에서 ‘자살예방의 날 캠페인’을 진행했다. (희망철도재단)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자살률이 27.3명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38.3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것이다. 자살률은 줄어들다가 10여년 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특히 70대 이상 자살률이 높았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2.1배 많았다. 80세 이상 남자 자살률은 여자보다 3.9배 높았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자살 사망자 수는 1만 3978명으로 전년 대비 1072명(8.3%)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전년 대비 2.2명(8.5%) 증가, 2013년(27.3명) 이후 10년 만에 최대치였다. 자살률은 10년 전인 2013년(28.5명)부터 꾸준히 낮아져 2017년 24.3명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2018년 이후 약간 높아져 25~26명대 사이였다가 지난해 다시 10년 전 수준으로 높아졌다. 2022년 남성 자살 사망자는 9010명으로, 자살률은 35.3명이었으나 지난해는 사망자 수 9747명, 자살률 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