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위생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구강 청결제, 여성용 세정제, 항균 비누 등을 쓰는 사람들이 많다. 이런 제품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효과를 준다. 하지만 지나친 의존은 오히려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건강을 해친다. 과도하게 사용하면 신체의 자연적인 방어 시스템을 약화시킨다. 세정 제품을 너무 자주 사용하면 신체의 유익균까지 제거된다. 구강 청결제를 장기간 과하게 쓰면 입안의 정상 세균총이 무너져 오히려 곰팡이(칸디다) 감염 위험이 증가한다. 여성 청결제도 마찬가지다. 질 내부까지 세정하면 정상 세균총이 손상되어 질염이나 방광염 위험이 커진다. 항균 비누와 손 소독제는 일반 비누와 비교했을 때 항균 효과가 특별히 뛰어나지는 않다. 지속적으로 쓰면 피부 장벽만 약해져서 감염에 취약해진다. 물론 청결제, 세정제 사용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사랑니를 발치한 후나 구강 내 염증이 있으면 항생제 성분이 포함된 구강 청결제를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한다. 방사선 치료로 인해 질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젖산균이 포함된 세정제를 사용한다. 세정 제품을 쓰기보다는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감염 예방에 더욱
한국헬스경제신문 | 홍유미 차의과대학교 강남차병원 산부인과 교수 여성 청결제는 치료제가 아니다 “여성 청결제 써야 하나요?” “여성 청결제 써도 되죠?” 산부인과의사로서 받는 단골 질문들이다. 의학의 영역 끝에 살짝 걸쳐 있는 꽤나 애매한 질문인데, 사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질문에 이미 효용성이나 부작용에 대한 의문이 어느 정도 내포되어 있다. 나는 이런 질문을 ‘의사’에게 하는 분들에게는 “쓸 필요 없다.”고 한마디로 일축한다. 여성 청결제 사용이 치료의 영역이라 여기지 않는 분들은 애초에 의사에게 이런 질문을 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여성 청결제는 치료제가 아니다. 사실 여성 청결제 사용이나 성분과 관련된 의학적 근거를 찾기란 쉽지 않다. 환자가 아닌 건강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대규모 임상 시험을 진행하는 것이 쉽지가 않을뿐더러 의사들이 관심을 쏟는 영역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나마 최근 진행된 몇 건의 연구도 케이스 발표 수준에 불과하고, 대부분 특정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사의 지원을 받아 진행한 연구라 전적으로 신뢰하기도 어렵다. 또 여성 위생, 청결과 관련한 관행은 문화적 차이가 커 어떤 나라에서 어떤 인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나 연구인지도 꼼꼼히 들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