넉 달 넘은 의료공백 기로에 서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서울대병원이 집단휴진을 중단하고 의과대학 교수, 지역 의사회 등이 참여하는 범의료계 특별위원회가 출범하면서 넉 달을 넘긴 의료공백 사태가 전환점을 맞고 있다. 이르면 이번주 초 정부와 의료계가 공식 대화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부 의대 교수 등 의료계는 이달 말과 내달 초 무기한 휴진을 계획하고 있어 사태 해결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환자단체들도 대규모 거리 집회를 예고하고 보건의료 노동자단체가 이달 말까지 진료 정상화가 안 되면 전면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압박하면서 신속한 사태 해결에 대한 여론의 요구 또한 커지고 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환단연),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한유총)는 다음 달 4일 서울 보신각 앞에서 다른 환자단체들과 함께 환자와 보호자 1000명이 참여하는 총궐기대회를 개최한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대정부 투쟁과 협상에 나설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를 설치하고 22일 첫 회의를 열었다. 강경파인 임현택 의협 회장은 뒤로 빠졌다. 의대 교수, 전공의, 지역의사회 등 의료계를 아우르는 조직으로 정부가 계속 주문했던 ‘의료계 단일안’을 내놓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실제로 첫 회의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