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의 역사와 의학] ④세균 감염을 획기적으로 줄인 소독약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깨끗한 물이나 소독약이 없던 시절, 소변은 수 세기 동안 전쟁터에서 다친 병사들의 상처를 씻어내는 역할을 했다. 사람의 소변은 요로감염증만 아니라면 무균 상태다. 따라서 소변을 소독약으로 사용한 것은 나름 효과적인 선택이었다. 소독약은 인류 역사상 중요한 발명품 중 하나로, 상처가 났을 때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한 게 목적이다. 소독약의 발명은 인류의 건강과 생존에 절대적 영향을 미쳤고 수술실과 가정에서의 필수 의약품이 되었다. 소독의 개념을 최초로 적용한 의사는 영국의 외과 의사 조지프 리스터(1827-1912)다. 그는 무균법의 창시자이자 소독 수술에 선구적 역할을 했다. 그 시절 영국에서는 수술 후 감염에 의한 사망률이 매우 높았다. 수술을 최대한 빨리 끝내주는 의사가 인기가 있었다. 유명한 외과의사였던 리스터는 하수구 정화용으로 주로 사용되던 페놀(C6H5OH)류의 한종류인 석탄산(카르본산 페놀)을 이용한 소독을 처음 사용해 수술 후 감염과 사망률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수술실에 석탄산 용액을 뿌리고, 석탄산으로 수술 도구와 붕대, 환자의 상처를 소독했다. 그 덕분으로 외과 수술이 엄청난 발전을 했고 그는 남작 작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