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과일은 많이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큰 오산이다. 다이어트 하는 사람들이 밥이나 빵 같은 탄수화물 대신 과일을 많이 먹기도 한다. 과일은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 성분 및 섬유질이 풍부하여 건강에 유익하지만, 과다 섭취 시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이는 과일에 함유된 과당 때문인데, 과당은 섭취량과 타이밍에 따라 체지방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과일 속 당분은 체내에 곧바로 흡수되어 포도당, 과당 등의 형태로 저장된다. 식후 입가심으로 먹는 과일은 밥이나 빵보다 체내에 더 빨리 흡수되는데, 먹으면 혈액 중 포도당 농도가 금세 높아져 인슐린이 많이 분비되어 식사 때 섭취한 지방이 지방세포로 바뀌면서 비만을 유발한다. 과당은 다른 당류에 비해 간에서 지방으로 전환되는 비율이 높아 과다 섭취 시 지방간, 이상지질혈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과일 섭취 후 에너지 소비가 적은 저녁 시간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과일 섭취 시 칼로리와 혈당 지수(GI)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GI 지수가 높은 과일은 혈당을 빠르게 상승시켜 인슐린 과잉 분비를 유도하고, 이는 체지방 축적
한국헬스경제신문 | 박연정 연세대 치과대학 구강내과 임상조교수 코골이와 수면무호흡, 가볍게 넘기면 안 돼 코골이는 단순히 코에서 나는 소리가 아니라, 기도가 좁아지면서 공기와 주변 조직이 마찰하여 발생하는 소리다. 사람이 숨을 쉴 때 공기는 입천장, 목젖, 편도, 혀와 같은 부드러운 구조물을 지 나가게 된다. 낮 동안에는 근육이 이 구조물들을 지탱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지만, 잠자는 동안에는 근육이 이완되어 기도가 좁아진다. 이때 공기가 통과하면서 주변 조직을 진동시켜 코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수면무호흡은 더 심각한 상태로, 수면 중 기도가 막혀 호흡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단되는 현상이다. 이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면 산소가 부족해지고, 이를 인지한 뇌가 몸을 깨우면 서 숨을 크게 들이마신 후 다시 호흡을 시작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수면을 취해도 피로가 풀리지 않고 생활에 지장이 생긴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이 심해지면 우리 몸은 필요한 산소량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고, 수면의 질도 크게 저하된다. 이로 인해 낮 동안 피로를 느낄 뿐 아니라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퇴 같은 인지 기능이 저하될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한국인 아동·청소년 평균 키 변화.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인 아동·청소년 시대별 비만도 변화 경향. /국가기술표준원 아이들이 불쑥 커졌다. 10년 전에 비해 초등학생 남자 아이 평균 키는 4.3㎝, 여자 아이는 2.8㎝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성장의 속도도 빨라졌다. 성장 고점기는 10년 전과 비교하면 남자는 16~17세에서 14∼15세로, 여자는 15~16세에서 13∼14세로 10년 전에 비해 남녀 모두 약 2년 정도 앞당겨졌다. 하지만 18∼19세 남자 10명 중 2명은 과체중·비만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일 어린이날을 앞두고 서울 롯데월드타워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를 열고 만 7~19세 아동·청소년 1118명(남자 571명·여자 54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인체 치수 측정 결과를 지난 6차 조사(2011∼2013년)와 비교해 발표했다. 표준원은 3차원 스캐너를 활용해 키, 몸무게, 다리·팔 길이, 허리둘레 등 총 314개 항목에 대해 조사했다. 중학교 연령(12∼14세)의 평균 키는 남자 7.4㎝, 여자 3.3㎝ 커져 남자는 165㎝, 여자는 158㎝다. 남자 아이들이 중학교에 들어가 불쑥 자란 것이다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선임기자 | 흡연자들은 담배를 끊으면 체중이 갑자기 늘어날까봐 걱정한다. 그런 이유를 대면서 금연을 결행하지 않는다. 하지만 흡연이 오히려 복부 비만, 특히 심혈관 질환, 당뇨병, 치매 위험 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 내장 지방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합뉴스가 덴마크 코펜하겐대학 연구진이 중독연구학회(SSA) 학술지에 발표한 내용을 22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체중은 적지만 복부 지방이 더 많다. 연구진은 멘델 무작위 배정(MR)이라는 통계 분석 방법을 사용해 흡연과 복부 비만 사이의 인과 관계를 측정했다. 연구에는 흡연자 120여만 명, 평생 흡연자 45만여 명, 체지방 분포 연구 60여만 명의 데이터가 사용됐다. 그 결과 흡연과 관련된 유전적 요인은 피부 아래의 피하지방보다는 복부 장기를 감싸고 있는 내장 지방 조직 증가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허리-엉덩이 비율 측정 결과 흡연이 복부 지방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증가하는 지방의 유형이 피하지방보다는 내장 지방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