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갈수록 기온이 떨어지면서 올해 첫 한랭질환 사망자가 나왔다. 12일 질병관리청 ‘한랭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9일 경기 포천에서 60대 남성 한 명이 한랭질환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신고됐다. 질병관리청은 겨울철 한파로 인한 건강 피해를 파악하기 위해 이달부터 전국 500여 개 응급실에서 한랭질환 감시 체계를 운영 중이다. 이번 피해로 9일까지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총 29명이 됐다. 대표적인 한랭질환은 저체온증이다. 저체온증은 임상적으로 중심체온(심부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인체의 열 생산이 감소되거나 열 소실이 증가될 때, 또는 두 가지가 복합적으로 발생할 때 초래되며, 갑자기 생기거나 점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체온이 정상보다 낮아지면 혈액 순환과 호흡, 신경계의 기능이 느려진다. 심장·폐·뇌 등 주요 장기의 기능이 저하하고 말이 어눌해지거나 기억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의식이 점점 흐려지는가 하면 팔다리에 심한 떨림 증상도 나타난다. 추운 환경에 노출되면 인체는 정상적으로 떨림과 근육 긴장, 대사량 증가 등을 통해 체온을 유지하려고 하지만 건강한 사람이라도 갑작스런 저체온증에 빠질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질병관리청은 이달 들어 아침 기온이 영하까지 떨어지며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자 한랭질환을 주의하라고 7일 당부했다. 기상청은 올 12월은 찬 공기의 영향을 자주 받아 평년보다 기온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고 예보한 상태다. 한랭질환이란 추위가 원인이 돼 인체에 피해가 생기는 질환으로 저체온증, 동상, 동창 등이 있다, 심하면 사망으로도 이어진다. 질병청에 따르면 2023∼2024절기에서 발생한 한랭 질환자 400명 중 12명이 사망했다. 한랭 질환자는 저체온증(79.5%)이 가장 많았고, 연령대별로 보면 65세 이상 노년층이 절반이 넘는 51.5%였다. 80대 이상 고령층 비율은 29.3%였다. 질환 발생 장소는 실외가 74.8%였고, 발생 시간대는 아침 6∼9시가 18.8%로 가장 많았다. 한랭 질환자 중 21.3%는 음주 상태였고 49.8%는 심뇌혈관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었다. 질병청은 특히 전국의 평균 최저기온이 갑자기 떨어진 작년 12월 16∼18일 3일간 전체 질환자의 9.8%가 나왔다며, 갑작스러운 추위로 신체 적응력이 떨어지면 한랭질환 위험이 커진다고 경고했다. 또 노인과 어린이는 일반 성인보다 체온 유지가 어려워 한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