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노인성 난청, 방치하면 치매 부른다
한국헬스경제신문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이비인후과 교수 치매와 난청의 상관관계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교의 프랭크린 교수 연구팀은 수천 명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 추적 관찰을 한 결과, 경도 난청은 치매 위험성이 2배, 고도 난청은 무려 5배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난청이 치매 위험을 높이는 이유는 크게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청각 자극의 부족으 로 인한 뇌 청각 영역의 위축. 둘째, 의사소통 단절로 인한 사회적 고립. 셋째, 이해를 위해서 인지 부하가 증가되고 이로 인한 뇌의 에너지 소모 가중. 넷째, 우울감으로 인한 전반적인 인지 기능 저하 등으로 설명된다. 귀가 닫히면, 결국 마음과 뇌도 닫히게 되는 것이다. 조기 개입이 뇌를 지킨다 노인성 난청은 노화의 일환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조기에 개입하면 청력 손실에 따른 인지 저하를 완화하고 장기적으로 치매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보청기의 사용을 들 수 있는데, 권위 있는 의학 학술지 『랜싯(Lancet)』에 발표된 최근 연구 「치매 예방, 중재 및 돌봄: 2020년 랜싯 위원회 보고서 (Dementia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