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비만치료제 부작용 성인보다 더 높아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GLP-1 계열 비만치료제가 작년 하반기에 출시된 후 청소년 사이에서 사용량이 급격히 늘고 있다. 정부는 14일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GLP-1 계열 비만치료제가 최근 12세 이상 청소년으로 투여 가능한 연령대가 확대된 것과 관련해 부작용과 오·남용을 예방하기 위해 청소년 맞춤형 의약품 안전 정보 등을 안내했다. 정부는 GLP-1 계열 비만치료제를 12세 이상 청소년 비만 환자가 사용할 경우 정상 투여하던 성인에 비해 담석증, 담낭염, 저혈압 등 부작용 발생률이 높았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GLP-1 계열은 포도당 의존적인 인슐린 분비 증가, 글루카곤 분비 저해, 허기 지연 및 체중 감소효과가 있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성분 치료제이다. 해당 비만치료제는 ▲체질량지수(BMI)를 계산해 이를 성인 기준으로 환산한 값이 초기 30㎏/m2 이상인 비만환자이면서 동시에 ▲체중이 60㎏을 초과해 의사로부터 비만으로 진단받은 12세 이상 청소년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칼로리 저감 식이요법 및 신체활동 증대의 보조제로서 처방되는 전문의약품이다. 체질량지수는 몸무게(㎏)를 키(m)를 두 번 곱한 값으로 나눈 값이다.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