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 나민석 연세대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조교수 숨 쉬는 일상, 적절한 치료로 되찾을 수 있다 ‘숨 쉬는 게 이렇게 힘들 수 있구나.’라고 느낀다면 이미 코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뜻이다. 만성 비부비동염은 오래 방치할수록 치료가 더 어려워지고, 재발도 잦아진다. 조기 진단과 꾸준한 치료가 가장 중요한 이유다. 지금이라도 코와 부비동에 관심을 기울이자. 숨 쉬는 일상이 건강한 삶의 첫걸음이다. 콧물과 코막힘 등이 오래 지속된다면 감기처럼 시작된 증상이 세 달 넘게 지속된다면 단순한 감기가 아닐 수 있다. 계속되는 코막힘, 끈끈한 콧물과 후비루(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는 증상), 얼굴 통증이나 압박감, 냄새를 잘 맡지 못하는 증상 등으로 고통받고 있다면, 만성 비부비동염을 의심해야 한다. 만성 비부비동염은 코와 부비동(코 주위 얼굴 뼈 안의 빈 공간)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예전에는 흔히 축농증으로 불렸지만, 이는 엄밀히 말해 정확한 표현이 아니며 현재는 비부비동염이라고 한다. 만성 비부비동염은 전체 인구의 약 5~10%에서 발생하는 굉장히 흔한 질환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이 질환을 정확히 모른 채 방치하다가 증상이
한국헬스경제신문 | 김윤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부교수 코는 공기가 우리 몸으로 들어오는 첫 번째 공간으로, 외부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찬 공기를 데우고, 공기 내의 먼지와 세균을 90% 이상 여과하는 기능을 한다. 비염에 걸리면 코의 이런 기능이 저하되어 다른 호흡기 질환이 생기거나 비염이 더 악화된다. 만성 비염의 주요 원인 비염은 코점막 염증으로 코막힘, 콧물, 재채기, 코가려움증이 생기고, 만성이 되면 코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잦은 감염으로 이어진다. 이는 부비동염(축농증)과 중이염 발생, 천식 악화, 후각 상실, 코막힘으로 인한 수면 장애 등을 야기하며, 소아청소년기에는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성 비염을 감기로 오인해 제대로 치료하지 않거나, 적합하지 않은 약을 과도하게 복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흔히 만성 비염은 완치가 어렵다고 오해하는 경우도 많지만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 근본적인 대책을 세운다면 매우 효과적으로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만성 비염은 여러 원인이 있으나, 소아청소년에서는 알레르기 비염과 만성 감염성 비염이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알레르기 비염은 특정 물질에 과민 반응을 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