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영양

겨울철 뜨거운 음식, “화상 조심하세요”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겨울이 코앞에 다가와 뜨끈한 국물이나 먹거리가 생각난다.

 

뜨거운 국물은 몸을 녹이고 풀어준다. 하지만 조심해야 한다. 아무 생각 없이 후루룩 마시거나 한입 베어물다가는 구강·인후·후두와 주변 연조직에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순댓국이나 곰탕, 설렁탕, 매운탕처럼 펄펄 끓여 나오는 음식이나 호빵·호떡·군고구마 등이 그렇다.

 

뜨거운 음식으로 인한 화상은 발생 부위에 따라 크게 구강·인후두 화상으로 나뉘며 정도에 따라서 1도·2도·3도 화상으로 구분한다.

 

1도 화상은 부위가 붉어지고 붓거나 미세한 염증 반응이 나타난다. 약간의 따끔거림과 통증을 동반하나 호흡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

 

2도 화상부터는 주의가 필요하다. 물집이 생기고 심한 통증과 부기, 염증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혀나 입술 피부가 벗겨져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치료를 받아야 한다.

 

3도 화상은 상황이 심각해진다. 피부가 손상돼 하얗거나 검게 변하고 궤양이 생길 수 있다. 감각이 사라지기도 하고 기도가 막혀 심각한 호흡 곤란이 야기될 수 있다.

 

응급조치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경미한 화상은 즉시 찬물로 입안을 헹구는 게 좋다. 직접적인 얼음 접촉은 피해야 한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회복할 때까지 자극적이거나 뜨거운 음식은 피한다.

 

음식물로 인한 일반적 화상은 보통 3~4일 후면 회복되나 빠른 회복과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구강 위생에 각별히 신경 쓸 필요가 있다. 통증이 심하고 회복이 더디면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고 소염진통제나 바르는 연고를 처방받도록 한다.

 

 

뜨거운 국물 음식은 잠시 식힌 후 먹거나 덜어 먹어야 한다. 호빵·호떡·군고구마처럼 겉보다 속이 더 뜨거운 음식은 입으로 자르지 말고 젓가락으로 자른 뒤 식혀 먹는 게 바람직하다. 고령자나 어린이는 쉽게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더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