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비만은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다
한국헬스경제신문 | 노혜선 하나로의료재단 가정의학과 전문의 우리나라 성인 남성 2명 중 1명꼴로 갖고 있는 질병이 있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를 거치며 더욱 많아진 이 질병은 수많은 질환의 원인이 되지만 많은 이들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 바로 ‘비만’이다. 2024년 9월 대한비만학회에서 발표한 ‘비만병 팩트시트 2024 ’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성인 전체의 비만 유병률은 38.4%이며, 특히 성인 남성의 비만율은 49.6%에 달한다. 비만은 세계보건기구가 규정한 질병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을 각종 성인병을 유발하고 나아가 사망률을 높이는 질병으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2년부터 2022년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을 추적 관찰한 결과 비만한 사람은 비만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당뇨 발생 위험은 2.5~9.5배, 고혈압은 2~5.2배, 심근경색은 1.2~2.1배로 높아진다(출처: 비만병 팩트시트 2024). 이외에도 지방간, 통풍, 관절염, 수면무호흡증, 하지정맥류, 담석증, 위식도역류질환, 난임, 발기부전, 대장암, 유방암, 간암 등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비만은 단순히 체형의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