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 건강] <37> ‘여행 복명’ 멀미 막는 똑똑한 방법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유독 멀미가 심해 여행을 주저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승용차나 버스, 열차에 오르자마자 밀려오는 울렁거림과 어지럼증으로 힘들어한다. 어지럼증,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멀미는 왜 생기는 걸까. 몸속 감각기관 간의 정보 충돌 때문에 생긴다. 눈으로 보는 외부 풍경과 귀·근육이 느끼는 움직임이 서로 어긋나면서 뇌가 혼란을 일으키는 것이다. 뇌는 시각, 내이(전정기관), 근육 및 관절의 감각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움직임을 인지하고 균형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동 중에는 이러한 감각들이 서로 다른 신호를 보내 뇌가 혼란을 느끼게 된다. 예를 들어, 차 안에서 책을 읽거나 스마트폰을 볼 때, 눈은 고정된 대상을 향하고 있어 ‘정지’ 신호를 보내지만, 몸은 차의 움직임을 느끼고 있어 ‘운동’ 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불일치가 뇌의 혼란을 야기해 멀미를 유발하는 것이다. 특히 귀 안쪽의 전정기관(평형감각 기관)이 멀미와 밀접하다. 차량의 급출발이나 급정지처럼 예측하지 못한 움직임이 평형기관을 과도하게 자극할 때 어지럼증이 심해진다. 전정기관은 귀 안쪽 달팽이관 옆에 위치한 작은 구조물로, 몸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