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과일향, 사탕향 등 달콤한 향이 첨가된 ‘가향담배’가 국내 담배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며 청소년 흡연을 부추기는 핵심 요인으로 지적됐다.
17일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수행한 ‘가향 담배 총체적 분석 및 규제방안 수립’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가향담배 판매량은 2011년 2억7천만 갑에서 2023년 16억8천만 갑으로 약 6.2배 급증해 전체 담배 시장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같은 기간 전체 담배 시장에서 가향담배가 차지하는 비중이 6.1%에서 46.5%로 치솟은 것이다.

특히 필터 속에 있는 캡슐을 이로 터뜨려 향을 내는 ‘캡슐담배’가 가향담배 시장을 주도했다. 캡슐담배 판매량은 2011년 7천만 갑에서 2023년 13억7천만 갑으로 무려 19.6배나 증가했다.
보고서는 가향담배가 담배의 맛과 향을 좋게 만들어 초기 흡연 경험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고, 이는 청소년과 신규 흡연자의 진입 장벽을 낮춰 결국 흡연 습관을 유지하고 니코틴 의존도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진다고 분석했다.
실제 연구 결과, 가향담배 사용자는 비(非)가향 담배 사용자보다 금연 성공률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가향담배에 대한 포괄적이고 강력한 규제 도입을 촉구했다.
연구진이 정책 효과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올해부터 가향담배 규제를 시행하면 2034년 남성 흡연율은 현재 정책을 유지할 때(20.3%)보다 2%포인트가량 낮은 18.3%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여성 흡연율 역시 3.1%에서 2.7%로 추가 감소가 예상됐다.
이는 2015년 담뱃값을 2천 원 인상했을 당시 남성 흡연율이 약 3.8% 포인트 감소했던 것과 비교할 때, 가향담배 규제가 가격 정책에 버금가는 강력한 금연 유도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에 따라 유럽연합(EU), 캐나다, 브라질 등 다수 국가에서는 이미 멘톨을 포함한 특정 가향 물질 첨가를 금지하는 등 강력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도 더 늦기 전에 청소년 보호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실효성 있는 규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