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폭염이 지속되면서 땀이 줄줄 흐르고 기운이 쭉 빠진다. 여름에는 땀으로 수분과 전해질이 빠져나가고, 입맛도 떨어진다. 이럴 때는 자연스럽게 보양식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삼계탕이나 장어구이, 추어탕처럼 기름지고 무거운 음식은 오히려 속이 더부룩해지고 부담이 될 수 있다. 과거에는 ‘힘을 내기 위한 영양 보충’이 보양식으로 인기였다. 하지만 요즘은 내 몸의 상태에 맞춰 소화도 잘 되고, 무리도 없는 회복식이 진짜 보양식이다. 그래서 여름 보양식은 체력 보충+수분 보충+소화 부담 완화가 핵심이다. 여름철에는 수분 보충을 제대로 해주지 않으면 피로감이 심해지고, 두통이나 어지럼증도 생길 수 있다. 냉이국과 오이냉국은 수분과 무기질을 보충해주고 입맛을 회복시켜준다. 수박·오이·참외처럼 수분이 많은 과일도 큰 도움이 된다. ‘물’은 여름 최고의 보양제다. 하지만 시원한 맛에 찬물을 들이키는 것보다는 미지근한 물을 먹는 게 위장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한꺼번에 벌컥벌컥 마시기보다는 조금씩 자주 마시는 게 좋다. 나이가 많아지면 갈증을 잘 못 느끼니 어르신들은 주기적인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단백질과 이소플라본이 풍부한 콩국수는 근육을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광복절인 15일 밤사이 서울의 기온이 25도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열대야가 이어지면서 역대 열대야 최고 기간인 26일과 같았다. 16일 밤도 마찬가지였다. 27일간의 열대야는 서울에서 근대적 기상관측이 시작된 1907년 이후 118년 만에 나온 가장 긴 기록이다. 열대야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최악의 경우 열대야가 이달 20일 넘어서까지도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아침 9시까지 최저 기온이 25도 이상이면 ‘열대야’로 분류된다. 서울의 열대야는 지난달 21일 이후 하루도 빠짐없이 계속 이어졌다. 열대야 최장 기록은 21세기 최악의 더위로 꼽힌 2018년의 26일이다. 그해의 열대야는 7월 21일부터 8월 15일까지로 광복절 다음날 열대야는 사라졌다. ◇열대야 극복하려면 열대야는 여름철 수면을 방해한다. 사람은 잠자기 2시간 전 가장 높은 체온을 유지하는데 잠이 들면 점차 체온이 떨어지기 시작해 잠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분비되면서 깊은 잠을 유지한다. 잠에서 깨기 2시간 전까지 체온은 내려가고 이후 조금씩 체온이 높아지면서 잠에서 깨어난다. 그런데 실내 온도가 25도 이하로 떨어지지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입추(立秋)인 7일에도 무더위가 계속되며 전국적으로 20일 안팎 열대야도 이어지고 있다. 전국에서 아침 기온이 30도에 육박하고, 낮 최고기온은 지역에 따라 40도 가까이 올라가는 기록적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체감온도는 대부분 지역에서 35도 안팎까지 치솟았다. 광복절쯤이면 더위가 한풀 누그러지는 예년과 달리 올해는 2018년처럼 광복절 이후로도 무더위가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기상청이 8일 밝혔다. 현재 북태평양고기압이 우리나라 남서쪽에 자리해 고온다습한 남서풍이 불면서 찜통더위가 계속되고 있다. 평년보다 해수면 온도가 2~3도 높은 뜨거운 서해를 지나는 남서풍이 체감온도를 높이고 밤사이 기온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 상황이다. 기상청 중기예보에 따르면 말복(14일)과 광복절(15일)이 있는 다음 주를 넘어서 최소한 18일까지는 무더운 날씨는 이어지겠다. 다만 일본을 향해 13일 전후 소멸할 제5호 태풍 마리아가 기압계를 흔들 경우 무더위가 더 심해지거나 약해질 가능성이 있다. 평년 정보를 보면 15일 전후로 기온이 내려간다. 그러나 다음 주까지 아침 기온은 23~26도, 낮 기온은 30~35도로 평년(최저 22~24도, 최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여름이 됐다지만 유난히 땀이 많이 나고 남보다 더위를 많이 탄다면 갑상샘 이상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갑상샘은 목 중앙에 나비 모양으로 생긴 내분비기관이다. 갑상샘 호르몬을 혈액으로 내보내 심장 운동, 위장관 운동, 체온 유지 등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조절함으로써 모든 기관이 제 기능을 적절히 유지하도록 해준다. 이 호르몬이 대사가 빨라져 정상보다 많이 분비되면서 몸의 에너지가 빨리 소모돼 기능이 떨어지는 질병이 '갑상샘기능항진증'이다. 몸이 필요 이상의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것인데, 남는 에너지는 열과 땀의 형태로 발산돼 환자는 유난히 더위를 느끼게 된다. 갑상샘 기능이 떨어지면 심박 수가 빨라지고 혈압에 이상이 생길 수도 있다. 빠르게 숨이 차고 지치며 체중이 빠진다. 환자의 약 3분의 1에서는 눈이 앞으로 튀어나오는 안구 돌출 증상도 발견할 수 있으며 배변 횟수가 증가하며 때로는 설사를 하기도 한다. 신경이 예민해지고 불안해져 흥분을 잘 하고 주위 사람들과 다투는 경우가 많다. 갑상샘기능항진증은 여름에 발병이 잘 되며 재발 혹은 악화되기 쉽다. 시원한 곳인데도 덥게 느껴지고, 가만히 있어도 계속 더위가 느껴지며 땀이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