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홀로 가구’ 1000만 돌파…전국 가구 수의 40%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주민등록 인구가 5년째 줄고 있지만 전체 가구 수는 늘면서, 열 가구 가운데 넷은 ‘나 홀로 가구’인 것으로 집계됐다. 행정안전부가 27일 발간한 ‘2025 행정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12월31일 기준 1인 가구는 1012만 세대다. 2020년 900만 세대(906만)를 넘어선 뒤 불과 4년 만에 1000만 세대마저 돌파해 전체의 42%를 차지했다. 2인 가구도 따라서 늘었다. 540만 세대에서 601만 세대가 됐다. 당연히 4인 이상 가구는 크게 줄어 461만 세대에서 394만 세대로 급감했다. 1인 가구가 늘어나는 것은 청년층의 결혼·취업 지연과 고령화에 따른 독거노인 증가 등이 배경으로 분석된다. 1인 가구의 증가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여 산업구조 개편이나 의식주 등 생활주거 문화 전반에 큰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1인 가구는 고령층이 많았다. 70대 이상이 207만 세대로 가장 많았고, 이어 60대, 30대, 50대 순이었다. 60대 이상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39%다. 전체 세대 수는 2411만8928세대로 2020년보다 약 100만 세대 늘었다. 인구는 줄고 있지만 1·2인 가구의 증가로 세대 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