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당선된 후 케네디 주니어를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임명했다.
트럼프는 “오랫동안 미국인들은 속임수, 잘못된 정보, 허위 정보에 연루된 식품업계와 제약회사들로 인해 피해를 보았다”며 “보건복지부는 해로운 화학 물질, 오염물질, 식품 첨가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케네디는 미국을 위대하고 건강하게 만들 것이다”라고 밝혔다.
존 에프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조카인 케네디 주니어는 대선에서 제3지대 후보로 출마했다가 트럼프 지지를 선언하며 중도 하차했다.
그는 환경 전문 변호사로 명성을 쌓았으나 미국 정가의 대표적 백신 거부론자가 되면서 논란의 대상이 됐다. 그는 부패를 막기 위해 일부 백신에 포함된 수은 성분이 자폐증을 유발한다고 주장했고 코로나19 백신 거부 운동에도 열정적으로 나섰다. 미국 정부의 백신 의무화 정책이 홀로코스트(나치의 유대인 대학살)와 같은 일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백신음모론’에 기초한 보건 정책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 철학을 가장 적극적으로 행정에 반영해온 플로리다주는 최근 백신 의무화 정책을 완전 폐기했다.
플로리다주는 아동의 학교 입학 시 요구되는 백신 접종을 포함한 주 차원의 모든 백신 의무화 정책을 폐기했다.

4일 미국 워싱턴DC 의사당에서 3시간 넘게 진행된 상원 재무위원회 청문회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백신 정책을 두고 뜨거운 공방전이 벌어졌다.
지난달 트럼프와 케네디 장관의 ‘백신 음모론’에 맞섰던 수전 모나레즈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국장이 취임 한 달도 안 돼 해임된 뒤 처음으로 보건장관이 출석하는 청문회가 열린 것이다. 민주당 의원들은 케네디 장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그동안 백신에 대한 불신을 공공연하게 표출해왔던 케네디 장관은 이날도 기존의 입장을 굽히지 않으며 CDC 수장 교체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그는 6월 CDC의 백신 실무자 자문위원회 17명을 전원 해고했고, 백신 연구·개발 정책 예산도 취소했다.
민주당의 론 와이든(오리건) 상원의원은 청문회에서 “이건 과학자와 의사들을 배제하고 음모론이 이 나라 보건 정책을 결정짓게 하는 무모하고 반복된 결정으로 위험에 처하게 된 아이들에 관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케네디 장관을 향해 “근본적으로 잔인하고 상식을 거스르는 정책과제를 실행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아이의 죽음을 희생으로 감당할 수 있을지 국민들에게 말하라”고 공격했다.
케네디 장관은 “20년 만에 처음으로 오늘 우리는 미국에서 유아 사망률이 증가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이는 바이든 정부에서 일어났던 일 때문이고, 우리는 그것을 끝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이뤄진 마스크 관련 지침, 사회적 거리두기, 학교 폐쇄 등 CDC의 정책 방향이 ‘재앙적이고 비상식적’이었다고 비판했다.
케네디 장관은 "우리는 CDC에서 대담하고 능력 있고 창의적인 리더십, 새로운 길을 개척할 능력이 있고 의지가 있는 사람들을 필요로 한다"며 앞으로 CDC는 만성질환 대응과 예방 정책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코로나 백신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mRNA(메신저리보핵산) 백신 연구·개발 정책 예산을 취소했던 케네디 장관은 이날 청문회에서도 mRNA 백신은 해롭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공화당의 일부 의원들도 케네디 장관의 이 같은 입장에 우려를 나타냈다.
의사 출신인 존 버라소(와이오밍) 상원의원은 케네디 장관에게 “백신은 효과가 있다”며 “최근에 임명된 CDC 국장도 해임됐는데 국민들은 이제 누구를 믿어야 할지 모른다”고 우려를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