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후추(pepper)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인도에서 향신료로 사용되었다. ‘검은 황금’이라 불릴 정도로 귀하게 여겨져 화폐처럼 사용되기도 했다.
인도와 동남아가 원산지인 후추는 다른 지역에서 전혀 생산되지 않았고, 유럽인들은 후추에 매료되어 이를 구하러 멀리 떨어진 동방으로 함대를 보냈다. 그 과정에서 태풍에 휩쓸리거나 더위와 괴혈병에 걸려 많은 사람이 죽어가는 고통을 감수했다.
후추 쟁탈전은 십자군전쟁과 대항해시대를 여는 발단이 됐다. 포르투갈의 바스쿠 다 가마가 인도 항로를 발견한 것도 후추 때문이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후추의 재배 지역은 인도뿐만 아니라 베트남, 브라질,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등지로 확대되었다. 인도는 과거 후추 생산량 세계 1위를 차지했으나, 현재는 세계 4위 수준이며 베트남과 브라질이 주요 생산국이다.

후추는 소화 촉진, 항산화 효과, 면역력 강화, 체중 감량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후추 속 알칼로이드 성분이 타액과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는 덕분이다. 후추엔 음식의 부패를 막아주는 성분도 들어 있다.
후추의 매운맛과 향을 내는 피페린도 건강 효능이 다양하다. 피페린은 고추, 후추, 강황에 들어 있는 약효 성분으로 매운맛을 낸다. 피페린의 알싸한 매운맛은 혀의 미뢰를 자극하는데, 이때 위 소화액 분비가 촉진돼 소화가 잘 되도록 돕는다. 폴리페놀류로 분류되는 피페린은 항산화 효과가 있다.
또 피페린 성분은 염증을 유발하는 성분을 억제해 항염 작용을 한다. 서울대생약연구소팀의 동물실험에 따르면 후추는 해열진통제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보다 13배 강한 해열 효과가 있다.
후추는 고기를 요리할 때 특히 많이 쓰인다. 그런데 후추를 뿌릴 때 조심해야 할 게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스테이크를 조리할 때 후추를 처음부터 뿌리고 고온에서 조리하는 것은 피하고, 요리 마무리 단계에 뿌리는 게 건강에 좋다.
후추를 미리 뿌리고 요리하면 발암물질로 알려진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이 10배 이상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고기를 구운 뒤 후추를 뿌린 요리에 들어 있는 아크릴아마이드 양은 492ng(나노그램)이지만 후추를 뿌린 채 구우면 아크릴아마이드가 14배 이상 증가한 7139ng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미를 극대화하려면 음식에 따라 사용하는 후추를 달리하는 게 좋다. 익지 않은 후추 열매를 껍질째 햇빛에 말린 흑후추는 매운맛과 향이 강해 스테이크 같은 고기 요리에 잘 어울린다. 붉게 익은 후추의 껍질을 벗긴 후 말려서 만든 백후추는 맛이 부드러워 생선 요리에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