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정신건강 심각”...5년간 두 배 늘어

정신 문제로 응급실 찾은 청소년 중 자해 27%
서울아산병원, 국가응급진료정보망 자료 분석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로 응급실을 찾은 청소년과 20대 초반 성인이 5년간 2배 가까이 늘었다. 10명 중 3명 가량은 고의적 자해로 응급실에 온 사례였다.

 

김원영 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 자료를 토대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정신건강 문제로 전국의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를 분석했다.

 

응급실 방문 11만7천997건 중 28.0%가 10∼24세 청소년과 젊은 성인이었다. 10∼24세 환자의 방문 건수는 2017년 4천737건에서 2021년 8천787건으로 85.5%, 약 1.9배 늘었다. 이에 따라 정신건강 문제로 응급실을 방문한 전체 환자 중 10∼24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22.0%에서 2021년 35.0%로 커졌다. 반면 25세 이상 성인 환자의 방문은 1만6천798건에서 1만6천313건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정신건강 문제 중에서도 고의적 자해로 인해 응급실을 방문한 경우가 10∼24세 환자에서 26.9%에 달했다. 25세 이상 성인 환자의 고의적 자해 비율은 17.3%다.

 

 

10∼24세 환자에게서는 우울증, 조울증 등을 통칭하는 기분장애를 진단받은 경우가 43.2%로 가장 흔했다. 이어 불안장애 19.9%, 조현병 9.8% 순이었다. 기분장애 진단 비율은 2017년 35.4%에서 2021년 44.9%로 급증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