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한국 김이 세계 시장에서 인기를 끌면서 지난해 김 수출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그 여파로 재고가 떨어져 국내 김 가격이 10% 넘게 올랐다. 덩달아 김밥 가격도 따라가 김밥집 문 열기가 주저된다. 김은 한국인이 사랑하는 밥반찬이다. 김밥을 쌀 때 말고는 보통은 마른 김에 소금과 기름을 발라 구운 작은 네모 형태의 조미김을 사 먹는다. 어떤 가정은 조미김이 짜다고 해서 마른 김을 사서 프라이팬에 구워먹기도 한다. 그런데 어떤 김을 먹어야 더 좋은지, 영양 성분은 어떤 차이가 나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김도 조리 방법에 따라 영양 성분이 다르다. 결론은 시판되는 조미김보다 말린 김을 사서 소금을 약간 뿌려 먹는 게 몸에 더 좋다는 것이다. 마른 김이 구운 김이나 조미김에 비해 아미노산, 칼슘, 칼륨 등 함량이 더 높다. 한경대 영양조리과학과 황은선 교수가 △말린 김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지 않고 구운 김 △마른 김에 참기름을 바르고 소금을 뿌려 구운 김의 영양 성분을 비교해 봤다. 결과는 마른 김에선 13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됐지만 구운 김과 조미김에선 적게 나왔다 칼륨, 인, 칼슘, 나트륨, 아연, 니켈, 코발트 등 무기질도
한국재난안전뉴스 <전혜연 마크로비오틱 비건식탁 오늘 대표> | 해조류는 생김새는 비슷하지만 김, 미역, 감태, 매생이, 톳, 꼬시래기, 파래 등 종류가 다양하다. 미역은 요오드가 풍부하고, 톳은 철분이 풍부해빈 혈에도움이되며, 파래는 항산화 효과를 가진 폴리페놀이 많이 함유돼 있다. 이렇듯 해조류는 그 효능을 일일이 나열하기 어려울 정도로 영양적 가치가 뛰어나다. 종류에 따라 갖고 있는 영양소와 효능이 다양하지만 해조 류에는 공통적인 효능이 있다. 첫째로,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칼슘 함유량이 높은식품으로는 유제품과 어패류가 알려져있지만, 해조류도 칼슘을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대표적인 식물성식품이다. 특히 김의 칼슘 함유량은 100g당 490ml로, 우유의 4배 이상의 양에 해당한다.김 이외에도 미역, 톳, 파래 등의해조 류도 칼슘을 풍부하게 갖고 있다. 둘째로,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체내 노폐물 배출에 도움이 된다. 식이섬유는 장 속의 유익균에게는 먹이가 되고 유해 세균은배출해, 장내환경을 깨끗하게 정돈하는역할을한다. 또한, 배변 활동도 촉진해 몸속에 쌓인 불필요한 물질들을 배출시켜 면역력을 높이는 효과도있다. 특히 미역은 전체성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