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감기에 걸리면 주변에서 하던 이야기가 있다. 소주에 고춧가루를 타 먹으면 낫는다는 이야기다.
도수가 높은 소주와 화끈거리는 캡사이신이 들어있는 고춧가루는 몸을 따뜻하게 해주어 순간 감기가 진정된 느낌을 받을 수는 있다. 그러나 그뿐이다.
이 민간요법은 틀렸다고 지적하는 전문가가 대부분이다. 순간적으로 체온은 오를 수 있으나 결과적으로 오히려 몸을 차갑게 한다는 것이다.
알코올은 체내에 들어가면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좋게 한다. 이때 혈액이 내부 기관에서 피부 표면으로 올라오며 일시적으로 체온이 높아지는 현상은 확실히 있다. 하지만 이렇게 올라온 몸의 열기는 피부를 통해 바로 빠져나가고, 수분과 함께 빠져나간 몸의 체온은 오히려 더 낮아진다.
몸을 따뜻하게 하자고 마신 술이 결국 더욱 차갑게 만드는 것이다. 또 알코올은 간에서 분해(산화)가 되는데, 이때 간의 피로가 축적되어 체력조차 떨어진다.
감기의 원인인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데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알코올은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고, 간과 위장에 부담을 주어 전반적인 컨디션을 저하시킨다. 또한, 감기로 인해 약해진 몸에 알코올과 고춧가루의 자극은 위염, 속쓰림, 구토, 설사, 탈수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오히려 감기를 악화시킬 수 있다.
이밖에도 알코올 섭취는 일시적으로는 잠이 들게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잠을 방해한다. 이뇨작용을 도와 화장실에도 자주 가게 만들며, 뇌파를 수면 중에 증가시키고, 신체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렘수면 또한 차단한다.

고추와 소주를 같이 마시는 문헌은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이라고 불리는 이수광의 ‘지봉유설’에 처음으로 나온다. ‘고추에 소주를 타서 주막에서 팔기도 하는데, 이를 먹고 죽는 사람이 많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지봉유설에 고추는 ‘대독’(大毒)이라고 표현돼 있다.
러시아에서는 보드카에 후추를 타서 마시곤 하며, 일본은 따뜻한 청주에 달걀을 넣은 달걀술을 마신다. 후추 역시 일시적으로 체온은 상승시키지만 결과적으로는 고추와 비슷한 역효과를 준다. 일본의 달걀술은 감기 치료는 아니지만 예방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
그렇다면 감기에 좋은 술은 없을까? 유사한 음료는 있다. 바로 프랑스의 따뜻한 와인 ‘뱅쇼’(Vin Chaud)와 한국의 해장술로 불리는 ‘모주’(母酒)다. 뱅쇼와 모주의 공통점은 바로 술을 끓인다는 점이다. 뱅쇼는 와인을 끓이지만, 모주는 주로 막걸리를 끓인다.
이렇게 술을 끓이면 알코올은 상당 부분 증발되거나 아예 사라지기도 한다. 즉, 소주 등에 비해 알코올에 따른 저체온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뱅쇼에는 계피, 말린 정향, 레몬 껍질, 팔각 등이 들어가며, 모주에는 계피, 감초, 대추, 흑설탕 등이 들어간다. 뱅쇼 및 모두 둘 다 계피가 들어가는데 역시 감기 예방에 좋은 약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