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사회

9개 분야 전문가 90명이 문화예술 자문한다

문화예술정책자문위 출범…문체부 장관 직속
위원장은 소설가 은희경이 맡아
최정원‧윤일상‧신대철·김수로·이원종 등 참여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국내 9개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 90명이 정부의 문화예술 정책을 발굴하고 자문하는 ‘문화예술정책자문위원회’가 10일 닻을 올렸다.

 

9개 분야는 문학, 연극·뮤지컬, 클래식 음악·국악·무용, 미술, 대중음악, 영화·영상, 게임, 웹툰·애니메이션, 출판 등이다. 위원회는 최휘영 문체부 장관 직속으로 운영한다.

 

지난달 1일 가수 겸 프로듀서인 박진영을 위원장으로 꾸려진 대중문화교류위원회와 달리, 문화예술정책자문위원회는 문화예술 생태계를 구성하는 창작자, 학계, 업계, 평론가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한다.

 

 

위원장은 은희경 작가가 맡는다.

 

신춘수 한국뮤지컬제작사협회 회장, 뮤지컬 배우 최정원, 뮤지컬 음악감독 김문정, 무용수 최호종, 국립창극단 창악부 단원 김준수, 김주원 대한민국발레축제추진단 대표 겸 예술감독, 이성훈 한국화랑협회 회장, 신대철 바른음원협동조합 이사장, 작곡가 윤일상, 연주자 함춘호, 김영만 한국e스포츠협회 회장, 신일숙 한국만화가협회 회장, 정종민 CJ CGV 대표, 허정도 교보문고 대표이사, 얀 디륵스 가천대 유럽어문학과 부교수, 영화배우 이기영·이원종·김수로 등이 위원에 위촉됐다.

 

임기는 1년이고, 연임이 가능하다.

 

위원회는 수시로 분과별 회의를 열어 실질적인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문화예술인들의 창작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지원 방안, 문화창조 산업 생태계의 토대를 탄탄하게 하기 위한 정책, 청년 예술인 지원 방안 등 다양한 의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최휘영 장관은 “APEC 경주선언에 처음으로 명시된 문화창조산업은 토대와 기초가 튼튼하지 않으면 결코 지속해 성장할 수 없다”며 “문화예술정책자문위원회가 이미 꾸려진 대중문화교류위원회와 함께 문화예술 정책 소통을 위한 양대 플랫폼으로서 실질적인 역할을 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