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기자 |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면 흔히 ‘구안와사’라고 물리는 안면신경마비가 어느 순간 갑자기 얼굴에 발생할 수가 있다.
이 질환은 처음엔 증상이 강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넘어가기 쉬운데, 치료는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후유증이 크고, 회복 속도가 더디게 진행되기 때문에 증세가 의심되면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이 질병은 나이에 상관없이 나타날 수 있으며, 얼굴 근육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7번 뇌신경에 문제가 생겨 근육이 마비되는 것이다.
증상은 몇 시간 혹은 며칠 내에 나타나는데 얼굴 한쪽에만 증상이 생기는 편측성인 경우가 대다수다.
주요 증세로는 한쪽 눈이 잘 감기지 않고, 양치할 때 물이 새거나 식사 중에 음식이 새는 경우가 있다. 이마 근육의 움직임이 어려워 주름을 잡기 힘들고, 경직된 쪽의 입이 처지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골든타임은 48시간 이내로 늦어도 3일 안에는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작하는 게 좋다. 골든타임이 지난 환자의 약 30%는 완전히 회복하지 못하고 후유증을 겪는다. 골든타임 이내에 치료를 시작하면 영구 장애 확률을 절반인 15% 정도까지 낮출 수 있다.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 ▶물리 치료 ▶보톡스 주사 치료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약물치료는 고용량 스테로이드를 주로 사용하는데 마비가 진행되는 신경의 염증을 줄이고 회복을 앞당기는 데 도움을 준다. 최대한 빨리 스테로이드를 투여할수록 치료 효과가 좋다.
약 1~2주간의 급성기가 지나고 나서는 물리 치료(안면 재활 치료)가 효과적이다. 물리 치료는 회복할 때까지 이어가는 게 바람직하다.
만약 증상 발생일로부터 4주 이내에 크게 호전되지 않으면 보톡스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보톡스는 마비가 온 쪽 얼굴 근육의 힘을 기르도록 도와주고 안면신경 재생을 자극한다. 수술적 치료인 안면신경갑압술은 완전 마비에 가까운 중증 안면신경마비와 외상으로 인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진행한다.
안면신경마비가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이다.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다. 미리 대상포진 예방주사를 맞는 것도 좋다. 특히 혈관과 신경에 영향을 주는 고혈압·당뇨병 등 기저 질환 보유 환자는 면역력 증강에 더욱 힘써야 한다.
안면신경마비가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마비가 온 쪽의 눈을 보호하는 일이다. 마비로 눈이 잘 감기지 않으면 눈의 표면인 각막이 계속 공기에 닿아 노출성 각막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수시로 인공눈물을 넣어 각막을 보호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