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 이후장 경상국립대 수의과대학 교수
사람과 반려동물에게 행복이란
행복은 인류 역사에서 철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 중 하나였다. 인간의 행복이란 사전적으로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함. 또는 그러한 상태’를 의미하며,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만족, 즐거움, 긍정적인 감정 상태를 포괄하는 주관적인 심리 상태를 의미한다. 인간에게 행복은 삶의 목적이자 끊임없이 추구하는 가치이다.
다양한 요소들이 서로 작용하여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지만, 단순한 감정 상태를 넘어 삶의 만족과 의미를 찾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중요한 가치라고 할 수 있다. 반려동물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단순히 먹고 자는 기본적인 욕구 충족뿐만 아니라, 사랑과 관심 속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자신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환경에서 건강하게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따뜻한 교감과 적절한 놀이 그리고 건강 관리 등을 통해 반려동물은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다.
반려견은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고, 보호자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통해 사랑과 즐거움을 느낀다. 잘 먹고 잘 자고 건강한 상황에서 보호자와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이 하나의 예다. 반려묘 역시 비슷해서 편안함, 안정감 그리고 보호자와의 긍정적인 관계 속에서 행복을 느낀다. 편안한 잠자리와 맛있는 음식, 적절한 놀이 그리고 애정 어린 교류가 반려묘의 행복에 중요한 요소이다.
반려동물의 행복도 평가
반려동물에게 행복은 신체적, 정신적 안녕과 자연스러운 행동을 보장하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그들의 행복을 평가하는 방법은 행동 관찰, 삶의 질 평가 지표, 동물 복지 향상을 위한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데, 적절한 평가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현재는 대안으로 인터넷에 ‘HHHHHMM 척도’가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것은 동물 종양학 상담 서비스 및 동물 호스피스 케어 클리닉 수의사였던 앨리스 빌라로보스가 암 같은 불치병에 걸린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관리를 유지해야 할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한 것이다. 통증(Hurt), 배고픔(Hunger), 수분 공급(Hydration), 위생(Hygiene), 행복감(Happiness), 활동성(Mobility), 기력 양호 일수(More good days than bad) 등 7가지 항목에 0점(가장 좋지 않은 상태)부터 10점(가장 좋은 상태)까지 점수를 매겨서 각 항목이 5점 이상이면 반려동물의 삶의 질이 양호하다고 판단해 호스피스 관리를 지속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반려동물의 삶의 질이나 행복을 평가하는 지표로 이 척도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현재로서는 반려동물이 보이는 행동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다.
반려견과 반려묘를 보다 행복하게
•규칙적인 운동
매일 산책하고 다양한 놀이를 통해 반려견이 에너지를 발산하도록 해 주는 것은 반려견에게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정신적으로 만족감을 느끼게 해 준다. 반려묘도 충분한 운동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장난감을 갖고 놀아 주거나, 캣타워(고양이가 올라갈 수 있도록 높게 만든 구조물) 또는 캣휠(고양이용 쳇바퀴) 같은 놀이기구를 설치해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활동은 단순한 놀이를 넘어 보호자와 반려동물 간의 유대감을 깊게 해 주는 효과도 있다.
•정신적 자극
반려견과 반려묘의 두뇌를 자극하기 위해 장난감을 활용하거나 노즈 워크(후각을 이용해 숨겨 놓은 간식을 찾게 하는 것) 같은 훈련을 통해 정신적인 자극을 주면 학습 능력이 높아지고 유대감이 강화된다. 이러한 자극은 공격성 등 문제 행동을 예방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된다.
•관심 주기
반려동물들은 보호자와의 소통을 통해 행복을 느낀다. 매일 시간을 내어 반려동물과 함께 놀아 주고, 애정을 표현하며, 일상을 적극적으로 함께할 필요가 있다. 보호자의 관심과 애정은 반려동물에게 안정감과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 제공
적절한 잠자리, 충분한 물과 사료, 다양한 장난감을 제공하여 스트레스 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위험한 물건들을 치워 사고의 위험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반려묘는 창밖 풍경을 구경하면서 기쁨을 느끼므로 창문 가까이에 캣타워를 설치해 주면 좋다.
* 이 기고는 대한보건협회 <더행복한 건강생활>과 함께 제공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