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91% 월경장애 있다”…심할수록 우울감↑

국립보건연구원, 성·생식건강조사자료 분석
57%는 중증 월경장애 경험
월경장애 10대는 우울증 더 커져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우리나라 여성 10명 중 1명이 월경장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57%는 중증 월경장애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현상은 월경장애를 앓을수록, 또 그게 중증이고 월경장애의 종류가 많을수록 우울감을 느끼는 정도가 커진다는 점이다. 특히 청소년은 최대 2.8배까지 우울감이 올라갔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2022년 실시된 ‘한국 여성의 생애주기별 성·생식건강조사’ 자료를 분석해 월경장애와 우울증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대한의학회 공식 학술지인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최신호에 게재했다.

 

월경장애는 월경통, 월경전증후군, 비정상 자궁출혈(과다월경, 과소월경), 무월경 등이다. 이는 신체적 통증 및 활동 제한 등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쳐 여성의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국립보건연구원은 13~55세 여성 3088명의 월경장애와 우울 증상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월경통, 월경전증후군, 비정상 자궁출혈 증상이 없는 여성에 비해 중증 증상을 경험한 여성에서 높은 우울감을 겪는 비율이 각각 1.6배, 2.0배, 1.4배 높았다.

 

또 경험한 중증 월경장애 수가 많을수록 높은 우울감을 겪는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했는데 이러한 연관성은 청소년기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중증 월경장애가 없는 여성에 비해 중증 증상이 1~3개 증가할수록 높은 우울감이 각각 1.6배, 2.0배, 2.1배 높았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중증 월경장애를 1개만 경험해도 1.8배 높았고 3개일 경우 약 2.8배로 성인 여성의 1.9배보다 높았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월경 관련 증상은 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건강 문제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우리나라 여성의 성·생식건강 현황과 주요 건강 이슈를 파악하기 위한 전국 단위 조사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