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럼

<건강칼럼> MRI로 확인해야 하는 턱관절 질환

턱관절 이상, 이갈이와 이 악물기 등 나쁜 습관이 원인
마른 오징어 등 딱딱한 음식 피해야

 

한국헬스경제신문 | 전국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영상치의학교실 임상교수

 

귀 앞쪽 턱이 아프거나 입을 벌릴 때 ‘딱딱’ 또는 ‘사각사각’ 모래 갈리는 소리가 나는 것을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또는 숟가락이 안 들어갈 정도로 입이 벌어지지 않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이것은 모두 턱관절 질환에서 흔하게 나타난다. 이런 증상이 있다면 모두 턱관절 질환일까?


턱관절 질환의 발생 원인과 진단


턱관절 질환은 턱관절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발생하기도 하고, 부정교합, 이갈이, 이 악물기 같은 나쁜 습관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기도 하는데, 특히 현대 사회에서 스트레스 증가로 점점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질환 발생시 통증을 동반하면서 음식을 씹기 어려워져 삶의 질이 현저히 저하된다.

 

특히 소아기나 청소년기에 턱관절 질환이 생기면 질환이 있는 쪽의 아래턱뼈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해 안면 비대칭을 야기할 수도 있다. 증상이 나타나면 조기에 진단하여 각 원인에 따라 치료를 해야 한다. 대부분 턱관절 질환이 원인이지만 간혹 다른 원인으로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턱관절은 아래턱뼈와 위턱뼈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디스크(disc, 물렁뼈)로 구성이 되고, 주위에 씹는 저작 근육이 붙어 있다. 턱관절 질환은 크게 골관절염, 디스크의 위치나 형태 이상인 턱관절내장증, 근육 문제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디스크는 오직 자기공명영상(MRI)으로만 이상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는 아래턱뼈와 위턱뼈 사이에 나비넥타이 모양으로 위치하고 있으나 턱관절내장증이라면 디스크의 형태가 길쭉해지거나 접히고, 때로는 볼록해지기도 하는 등 형태에 변화가 일어난다.

 

또한 위치도 대부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입을 벌릴 때 아래턱뼈가 앞으로 빠져 있는 디스크를 지나갈 때 ‘딱딱’ 하는 소리가 나고 형태 변화가 심해지면 ‘사각사각’ 모래 갈리는 소리가 나거나 앞으로 빠져 있는 디스크에 걸려 입이 안벌어지기도 한다.

 

턱관절 질환 증상과 유사한 다른 원인


턱관절 질환이 아닌 다른 원인 때문에 턱관절 질환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우선 염증이 발생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치아를 뽑은 후 또는 치아가 원인이 되어 염증이 생겼을 때, 턱관절 주위까지 염증이 파급되면 턱부위에 통증을 일으키거나 입을 벌리기 어려울 수 있다.

 

또는 턱관절과 인접한 귀나 침샘 등에 이상이 있을 때도 턱관절 이상으로 오인하기 쉽다. 턱관절 후방에 있는 귀 부위에 염증이 생겼을 때도 턱 통증이 나타날 수 있고, 턱관절 주위의 귀밑샘에 종양이 생긴 경우에 턱이 튀어나온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아주 드물게는 턱관절 주위에 악성 종양이 발생하여 뼈가 파괴되고 종괴에 의해 통증을 느끼면서 입을 벌리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턱관절 질환의 증상이 나타나면 가볍게 여겨 방치하지 말고 MRI 장비를 갖춘 병원에서 정확한 원인을 찾아 그에 맞는 치료를 해야 한다.


어떻게 예방할까


턱관절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생활을 비롯한 생활 습관이 중요하다. 마른오징어와 같은 질기고 딱딱한 음식, 턱관절을 자주 움직여야 하는 껌, 입을 크게 벌려야 하는 보쌈류는 피하는 것이 좋다.


음식을 먹을 때는 양쪽 치아로 골고루 씹는다. 턱을 괴는 행위, 엎드려서 자는 자세 역시 턱에 무리가 갈수 있으므로 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심적으로 불안정하면 이갈이, 이 악물기 같은 행동이 나타나기도 하므로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 기고는 대한보건협회 <더행복한 건강생활>과 함께 제공됩니다.

관련기사

7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